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 LOCALDATA 활용하기

by 샤이닝 클루 2024. 9. 1.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데이터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국민들이 지방행정 관련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데이터 범위: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은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건강, 동물, 의료기관, 의료기기 등 13종의 건강 관련 데이터와 18종의 동물 및 축산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접근성: 이 서비스는 웹사이트(http://www.localdata.go.kr)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공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데이터 형식: 제공되는 데이터는 Open API 형태로 제공되어 개발자들이 창의적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활용 사례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의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탕후루 가게의 폐업 추세를 분석하는 데 이 데이터가 사용되었습니다. 행정안전부의 지방행정인허가 데이터개방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4년 8월 17일까지 34개의 탕후루 가게가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데이터 활용 가이드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개방 서비스는 데이터 활용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개방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정보


정부 및 공공기관이 생성하거나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전자화된 파일
행정,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데이터


통계 및 분석 데이터


각종 통계 정보 및 분석 결과
예: 탕후루 가게의 폐업 추세 분석 데이터


지역 정보

지방자치단체에서 수집하는 도로 정보 등 지역 관련 데이터


산업 및 경제 데이터


특정 산업이나 경제 분야와 관련된 정보
예: BC카드의 탕후루 가맹점 매출액 지수


교통 관련 정보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공하는 교통 관련 데이터


활용 가능한 데이터 형식


파일 데이터, 오픈 API, 시각화 자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

 

 

이러한 데이터는 공공데이터포털(http://www.data.go.kr)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여 원하는 공공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정부의 투명성을 확인하고, 기업과 개인은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개방을 통한 민간의 창의적 활용 사례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공공데이터의 가치를 보여주며, 새로운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신산업 육성


인공지능 및 의료 분야:


익명화된 의료영상 데이터 개방을 통해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예방이 가능한 인공지능 의료 서비스 개발이 촉진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및 스마트시티:


4차 산업혁명 관련 데이터 개방을 통해 자율주행차와 스마트시티 등 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문화 및 관광 서비스

 

문화데이터 활용: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개방한 유산, 예술, 체육, 관광, 한글, 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관광 정보 서비스:

 

공연, 전시, 축제, 영화, 도서 등의 문화데이터를 활용하여 관광객들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생활 편의 서비스

 

환경 및 안전 정보:


환경, 안전, 의료 데이터 등 국민 삶과 밀접한 공공데이터 개방으로 관련 민간서비스가 창출되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경제 및 산업 분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경제 동향 분석, 소비 트렌드 파악 등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및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혁신적 서비스 개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스타트업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공데이터의 민간 활용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의 좋은 예시입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공공데이터 개방이 단순히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민간의 창의성과 결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정부는 이러한 민간 활용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데이터의 품질을 개선하고 개방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댓글